반응형

기본지식 6

컴파일러(compiler) , 프로그램 개발과정

컴파일러 : - 인간이 만든 프로그램을 기계가 이해하도록 기계어로 변환하는 변환기(프로그램) - 소스코드 문법의 오류를 체크하고, 컴파일 과정을 수행한 후 목적파일(오프젝트파일_기계어) 을 반환한다 컴파일 : - 소스코드를 기계어로 변환하는 과정 기계어 : 기계가 이해하는 이진숫자 (0과 1) 로 작성된 언어 프로그램 개발 과정 1) 프로그래머가 에디터(편집프로그램)를 활용해 소스코드 작성 2) 작성된 소스코드를 컴파일러를 활용해 기계어로 변환, 오브젝트 파일 생성. 3) 링커로 보내 실행파일 만들기 4) 실행

기본지식 2020.10.26

서버와 인터넷 , 웹과 인터넷의 차이

서버 (Server) - 클라이언트에게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나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는 컴퓨터. - 설치된 프로그램에 따라 웹서버, DNS서버 등의 여러 종류로 나누어진다. 웹 서버 : -웹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서버 중 하나 DNS서버 : - ip주소와 도메인 주소가 저장되어 있는 서버 - 도메인 주소로도 접속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인터넷이란? - '여러 통신망을 하나로 연결한다' 라는 의미의 '인터-네트워크 Inter network' 라는 말에서 시작됨 - 현재는 전세계 컴퓨터들을 하나로 연결하는 거대한 컴퓨터 통신망을 의미 - 인터넷은 여러대의 컴퓨터가 서버와 클라이언트로 구성되어 있는데, 서로 연결된 구성망을 '네트워크' 라고 부른다 웹과 인터넷의 차이 웹 (World Wide W..

기본지식 2020.10.26

그래픽 카드의 역활과 활용

CPU와 GPU의 차이 : CPU - 모든 종류의 연산을 가장 빠르게 처리 - 여러 연산을 빠르게 처리할 수 있는 회로체계 - 코어 당 차지 면적 GPU - CPU의 명령을 받아 영상신호를 생성, 모니터에 출력해주는 장치 - 단순한 연산을 빠르게 처리하는 방향으로 계속 발전해옴 (단순 연산 작업을 굉장히 빠르게 함) - 코어 당 크기가 매우 작다 (병렬정렬) - 이외의 다른 연산 처리 시 속도 저하 - 반복학습이 필요한 인공지능, 딥러닝, 암호화 작업을 위해 단순연산을 하는 비트코인 등에 크게 활용된다.

기본지식 2020.10.26

리눅스란?

운영체제 중 하나이며,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일을 한다. 구성 커널 : - 하드웨어와 가장 가까운 프로그램 - 입력받은 명령으로 하드웨어 제어 및 프로세스, 메모리 등을 관리 쉘 : 입력받은 명령어를 커널에게 전송 유틸리티 : 운영체제가 효율적으로 수행되게 하는 보조프로그램 특징 (장점 단점) - 공개되어 있는 오픈소스 OS 이다 - 누구나 사용 가능해서 버전이 많다 많은 버전때문에 환경이 공통적이지 않음 - GUI (Graphic User Interface) 와 CLI ( Command Line Interface) 를 지원하는 X-window 환경이다 - 다중 사용자, 다중 작업을 베이스로 설계되었다 - 많은 개발자들이 사용하는 오픈소스 이기 때문에 문제 발생 시 빠르게 보강된다 ..

기본지식 2020.10.26

도메인이란?

도메인 (Domain Name) - 흔히 말하는 "인터넷 주소" - 숫자로만 이루어진 IP를 주소를 외우기가 힘들어 고안해낸 새로운 주소 표기법 - 도메인 이름은 DNS(Domain Naming System_도메인 네이밍 시스템) 으로 관리한다 구성 기관, 또는 단체의 성격에 따랄 구분된다. com : - commercial ; 영리단체 net : - network ; 네트워크 관련기관 gov : - governmental; 정부기관 국가코드 : - kr (korea), jp (japan), ca(canada) 등 DNS(Domain Naming System_도메인 네이밍 시스템) - 도메인 이름과 IP주소를 서로 매칭해 상호 변환해주는 기능 등을 수행 - 도메인을 개인이 구매하여 사용하기도 함 - 도메..

기본지식 2020.10.26

IP 란?

IP : Internet protocal 의 약자로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모든 기기에 부여되는 고유한 번호이다. IPv4 와 IPv6 IPv4는 10진법, IPv6는 16진법을 사용해 번호를 만나는데 2011년 v4의 주소를 모두 소진한 후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는 수요를 감당하지 못해 v6가 등장, 16진법으로 나타내게 된다 IP의 종류 공인IP : - 주로 공공기관에서 사용 (sk,kt 등 통신사 인터넷 등.. ) / - 인터넷 속도가 빠르며, 좀더 정확한 위치정보를 제공한다 사설IP : - 공인 IP를 하나의 공유기로 나누어 주는 것 _ 같은 인터넷에 연결됨 (ex. 통신사 인터넷 가입했을 때 주는 공유기) - 가상의 IP를 만들어 각각 제공 - 외부의 검색, 접근이 불가하다 고정IP : - 고정된 I..

기본지식 2020.10.2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