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IP
: Internet protocal 의 약자로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모든 기기에 부여되는
고유한 번호이다.
IPv4 와 IPv6
IPv4는 10진법, IPv6는 16진법을 사용해 번호를 만나는데
2011년 v4의 주소를 모두 소진한 후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는 수요를 감당하지 못해
v6가 등장, 16진법으로 나타내게 된다
IP의 종류
공인IP :
- 주로 공공기관에서 사용 (sk,kt 등 통신사 인터넷 등.. ) /
- 인터넷 속도가 빠르며, 좀더 정확한 위치정보를 제공한다
사설IP :
- 공인 IP를 하나의 공유기로 나누어 주는 것 _ 같은 인터넷에 연결됨 (ex. 통신사 인터넷 가입했을 때 주는 공유기)
- 가상의 IP를 만들어 각각 제공
- 외부의 검색, 접근이 불가하다
고정IP :
- 고정된 IP이기 때문에 보안에 취약
- 수동으로 설정해야 하기 때문에, 오타 등으로 실수로 작성했을 때 IP 충돌 가능성
유동 IP :
- 비어있는 IP를 자동으로 찾아간다
- 대부분 개인이 사용하는 IP
- 자동으로 설정되기 때문에 편리하다
반응형
'기본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컴파일러(compiler) , 프로그램 개발과정 (0) | 2020.10.26 |
---|---|
서버와 인터넷 , 웹과 인터넷의 차이 (0) | 2020.10.26 |
그래픽 카드의 역활과 활용 (0) | 2020.10.26 |
리눅스란? (0) | 2020.10.26 |
도메인이란? (0) | 2020.10.26 |